꿈많은청년들

슬랙에서 커스텀 이모티콘 만들기: 간단한 방법과 팁

  • 작성 언어: 한국어
  • 기준국가: 모든 국가country-flag
  • IT

작성: 2024-11-11

업데이트: 2024-11-11

작성: 2024-11-11 11:53

업데이트: 2024-11-11 11:54

협업툴, 슬랙(Slack)에 들어갈 이모티콘 만들기

협업툴, 슬랙(Slack)에 들어갈 이모티콘 만들기

Slack에 들어갈 커스텀 이모티콘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안내할게요.

물론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모티콘들이 있긴한데, 자주 사용하거나, "읽음", "감사", "완료" 와 같은 것은 명확하게 한글 이모티콘이 나을 수 있어요. 너무 (부정적 의미로) 한국적인 스타일이라는 부분은 인정하는데 ㅎㅎ 어쩔 수가 없네요.

사용 조건

  • 기본 제공 (무료 버전에서도 사용 가능)
  • 커스텀 이모티콘 등록의 기본 설정값은 누구나 등록할 수 있으나, 권한 설정을 통해 소유자&관리자만 등록할 수 있도록 변경 가능
  • 이모티콘을 등록하는 방법은 다른 글에서 확인
  • 글 하단에 이모티콘을 올려뒀으니 다운 받으셔도 됨

이모티콘 제작 방법

  • 우선 확장자 ppt 파일을 열려면 파워포인트가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어야 하는데, (무료로 제공하는 것은 아니므로) 누구나 설치되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.
  • 따라서 구글에서 ppt 파일을 열수 있으므로 구글 프레젠테이션을 기준으로 설명드립니다.

1. '슬랙아이콘폰트pptx'파일을 엽니다.

- 이 파일의 크기는 [파일] → [페이지 설정]을 통해서 30cm x 30cm로 맞췄습니다.

협업툴, 슬랙(Slack)에 들어갈 이모티콘 만들기

2. 움직이는 파일을 만들 예정이라면, 원하는 형태로 여러개의 파일을 만들어야 하며, 1개의 고정된 이미지를 사용할 예정이라면 1개만 만들면 됩니다.

- [파일] → [다운로드] → [JPEG 이미지]를 클릭하여 jpeg 파일로 다운로드 받습니다.

3.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 파일이 2글자일 경우 위아래를 길게 늘려주는게 좋긴 합니다. (그냥 쓰셔도 무방)

- 이 경우 '슬랙이미지pptx'파일을 엽니다.

4. 좀 전에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를 '슬랙이미지pptx'에 넣습니다.

5. 이미지를 우클릭하여, [서식 옵션]을 클릭합니다.

- [서식 옵션]을 활성화하면 오른쪽에 팝업창이 뜹니다.

- 이때, [크기 및 회전]을 클릭합니다.

6. [크기 및 회전]에서 [가로세로 비율 고정] 체크를 하지 않고, 30cm x 60cm로 수정하여 늘려줍니다.

7. 이 파일을 다시 다운로드 받습니다.

- [파일] → [다운로드] → [JPEG 이미지]를 클릭하여 jpeg 파일로 다운로드 받습니다.

움직이는 이모티콘 제작 방법

움직이는 gif로 만드는 방법은 이지gif (https://ezgif.com/maker) 사이트를 이용합니다.

1. 파일을 선택한 후에 파일을 업로드 합니다.

협업툴, 슬랙(Slack)에 들어갈 이모티콘 만들기

- 이때 여러장의 사진을 선택하여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.

2. 여러장의 사진이 업로드가 완료되면 다시 [Upload and make a GIF!]를 클릭합니다.

3. Delay(딜레이)에서 20은 0.2초입니다. 너무 빠르게 변화하면 글씨이기 때문에 좋지 않습니다. 200 (2초)나 500 (5초) 정도로 설정하는게 좋습니다.

협업툴, 슬랙(Slack)에 들어갈 이모티콘 만들기

4. [Make a GIF!]를 클릭합니다.

5.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서 [Save]를 클릭하면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.

협업툴, 슬랙(Slack)에 들어갈 이모티콘 만들기

그 외 참고사항

  • 다 귀찮다싶으면 필자가 올려둔 이모티콘을 가져다가 사용하시면 되요.
  • 샘플이 있으면 제작하기가 수월하기 때문에 샘플 pptx 파일도 첨부드려요.
  • 파일 링크 : https://drive.google.com/drive/folders/16Iqd2XhL90rboA1ZkQCLXmlmOBqQsbna?usp=sharing
    • 이 블로그는 주식회사 꿈많은청년들의 '공식' 블로그입니다.
    • 구글 드라이브 링크에서 바로 직접 파일을 열수 있으며, 사본 만들기, 드라이브에 추가, 다운로드 받기 중에 3가지를 활용하시면 됩니다.

댓글0